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의 폐 표면활성제 치료, 미숙아 생존에 크게 기여

분당차여성병원 소아청소년과 배종우 교수팀

유일환 기자 | 기사입력 2019/08/05 [09:02]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의 폐 표면활성제 치료, 미숙아 생존에 크게 기여

분당차여성병원 소아청소년과 배종우 교수팀

유일환 기자 | 입력 : 2019/08/05 [09:02]

[분당신문]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여성병원(원장 이상혁) 소아청소년과 배종우 교수팀(경희의대 소아청소년과 정성훈, 김채용, 최용성 교수)은 지난 30년간 국내에서 발생한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RD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에 폐 표면활성제(Pulmonary Surfactant, PS) 치료가 미숙아 생존율에 기여했다는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 이번 연구 논문은 ‘History of Pulmonary Surfactant Replacement Therapy for Neonatal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in Korea’을 주제로 대한의학회지 7월호에 게재됐다.

   
▲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의 폐 표면활성제 대체요법 및 사망률 분석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은 주로 미숙아(임신 37주미만 출생)의 폐 표면 활성제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며 미숙아 초기 사망 원인의 35%를 차지하는 질환 중 하나이다.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에 사용하는 폐 표면 활성제 치료법은 폐 표면활성제 약물을 기도관을 통해 폐 표면에 직접 닿게 해 지속적으로 폐에 퍼지게 하는 치료법이다.

배종우 교수팀은 1991년부터 2017년까지 30여 년간 출생 체중 1,500g 미만인 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생존율을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1980년대 후반 42.7% 불과했던 생존율이 폐 표면활성제 치료를 도입한 1990년대 초반 51.3%를 시작으로 2017년 85.8%로 높아진 것을 확인했다. 또한 도입 초기인 1991년에 비해 2010년에는 폐 표면활성제 치료를 실시하는 병원이 4.5배 증가했고, 환아 수는 52.7배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 극소저출생체중아와 초미숙아의 생존율 변화

분당차여성병원 소아청소년과 배종우 교수는 “폐 표면 활성제의 치료가 1991년 도입된 이후 치료의 꾸준한 증가와 함께 장비와 약제, 인력, 제도 등의 개선이 신생아 호흡증후군 생존율 증가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며 “현재 동물 폐에서 축출한 제제 사용의 한계를 극복해 사람의 폐 표면활성제와 같은 치료제를 차메디텍과 공동 개발 중에 있어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 치료를 보다 적극적으로 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배종우 교수는 대한신생아학회 회장, 대한소아과학회 회장, 저출산 대책 의료포럼 상임대표, 심평원 심사위원, 한국보건의료원 기획위원 등을 역임하면서, 한국의 신생아 의료제도의 개선에 이바지했다. 현재 대한의학회 재무이사, 의학한림원 정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